이미 우리나라에 암과 함께 살아가는 암유병자가 많이 있습니다. 이제는 이러한 암 환자들이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을 해야 하는데요 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의료진 간의 소통이 없고 시스템이 부족하여 체계적인 암 재활치료를 하기위한 시스템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많다는 것입니다.
171명을 대상으로 암 재활의학의 인식에 대한 온라인조사를 시행한 결과 77%가 암생존자 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으며 이중 50%가 유방암, 뇌종양, 척수종양 환자에게 재활치료를 제공한 경험이 있다고 합니다.
암생존자란 암이 완치되고 장기간 생존하는 사람을 말하는데요 그에 반해 암유병자란 암을 가지고도 생존을 하고 있는 사람을 뜻합니다.
하지만 전체의 80%이상이 부인암, 대장암, 전립선암환자에게는 재활치료를 거의 제공하고 있지 못한다고 응답했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체계적인 진료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만약 암 전문의와의 협진 시스템이 잘 갖춰진 경우라면 재활치료를 2배 이상 시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암환자는 재활치료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적절한 재활치료를 제공하지 않을 뿐더러 효과적인 재활치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암 전문가와의 협진 시스템이 부재하여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약이 된다고 합니다.
이제는 암종류별 전문적인 재활치료의 개발 및 암전문의와의 긴밀한 협진 시스템이 절실함이 파악하여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재활치료를 시행하고 이를 통합지원체계의 마련이 제도적으로 필요할 것입니다.
암 재활의 목적은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암종별 전문적인 재활치료의 개발을 통해 더욱 활성화 되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통해 많은 환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으면 하는 바램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