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야기2015. 10. 24. 22:00

컴퓨터나 스마트폰은 이미 우리생활에 밀접하게 들어와있고 사용이 보편화되어 이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것들인데요 중요한 만큼 사용하는 시간도 꽤 길죠~ 하지만 이러한 것이 미치는 영향으로 척추에 변형이 생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컴퓨터나 스마트폰은 전자기기 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은 건강에 좋지 않다는 건 다 아실텐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의 사용으로 잘못된 자세가 오래 지속되면 등뼈 주위 근육이나 인대가 굳고 척추가 휘어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척추가 휘어지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척추측만증을 꼽을 수 있습니다. 곧게 뻗어있는 정상적인 척추와 달리 약 10도 이상 휜 상태를 척추측만증이라 하는데요 약 2%가 척추측만증 환자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가족 중이 척추측만증 환자가 있다면 20%의 발현율을 보인다고 합니다.

 

 

성인에게도 위험한 척추측만증이 청소년들에게 발생율이 높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청소년은 성장기이기 때문에 척추의 휘어짐은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죠 때문에 청소년 척추측만증은 조기발간이 매우 중요합니다.

 

 

척추측만증은 뚜렷하게 나타나는 통증 같은 증상이 없기에 더욱 더 척추의 변형 여부를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양 쪽의 어깨 높이의 차이가 있을 경우, 허리를 앞으로 숙였을 때 양쪽 등의 높이가 다른 경우, 가슴 크기가 비대칭인 경우, 한쪽 어깨뼈가 돌출된 경우,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러운 경우라면 척추측만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연령이 낮을 수록 치료시기나 회복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허리가 곧지 않고 S자 형태로 휘어졌다면 의심해봐야 하며 가장 좋은 치료법은 예방이 우선인데 전자기기의 사용이나 장시간 앉아 업무나 학업을 할 경우 주기적으로 자세를 풀어주고 틈틈히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경직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만큼 좋은 것 없기에 곧은 자세로 앉으려는 습관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생활습관 개선으로 디스크를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