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지방이 나이에 맞게 적절하면 좋겠지만 어디 식사조절이 맘대로 되나요^^ 적당히 있으면 좋지만 너무 없어도 안되고 그렇다고 비만이면 비만에 따른 질환의 발생률도 높다고 해서 체지방이 높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만성질환을 가진 고령의 나이라면 과체중보다 저체중일때 사망위험률이 2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마른 사람보다 적당히 비만한 사람들이 사망 위험이 더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반전을 주고 있는데요
50대 이상의 고령일수록 고혈압이나 심혈관계질환, 당뇨 등 각종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비만이라고 알려져 고령일수록 비만은 위험하다고 했는데요 오히려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 중에서 30세 이상 100만명을 추출하여 표본코호트를 만들어 질병과 건강행태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라고 합니다.
기존에는 비만에 걸리면 없던 병도 생길 수 있다며 대표적인 것이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뇌졸중 등의 만성질환입니다. 이러한 만성질환 때문에 더 빨리 사망할 수 있다고 했지만 오히려 본인의 질병과 건강상태에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조기에 치료하여 사망위험률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비만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로 인해 자연히 비만으로 인한 질병도 증가를 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이같이 노인층에게 비만의 역설이 두드러진것은 근육의 양과 지방이 노인에게 치명적인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노인에게 건강은 곧 체력이기 때문에 적정한 정도의 체중은 좋은 영양 상태와 근육량을 반영한다고 합니다.
반면 저체중은 영양섭취가 고르지 못할 확률이 크기에 면역력이 떨어져 폐렴, 결핵, 대상포진 등 각종 면역질환에 노출됐을 때 회복되는 속도가 더딜 수 있고 체지방과 근력의 부족으로 뼈에 체중이 실리지 않아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골다공증 위험성도 높아질 수 있다고 합니다.
어찌보면 적당한 체지방은 건강에 좋은 효과를 준다는 것이지요^^